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1 경제(상)-희소성과 경제 문제

경제/경제(상)

by s02.pling 2019. 12. 28. 22:47

본문

경제 생활(경제 활동)

생산 활동

  •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

    • 부가 가치 = 개개의 기업 또는 산업이 생산과정에서 만들어낸 가치 이 전 단계에 비해 더해진 가치
    • ex) 제조, 보관, 운송(유통) , 판매
      • 보관 : 자연상태였다면 가치가 떨어졌겠지만 보관을 통하여 가치를 유지 시키기거나 더 좋게 만들기 때문이다.
      • 판매 : 판매자의 판매 서비스를 통해 상품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 상품(생산물)

    • 재화 : 유형의 상품

    • 서비스 :인간의 노동력

분배 활동

  • 생산요소 (=생산활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 토지 -> 지대
    • 노동 -> 임금
    • 자본 -> 이자
  • 위의 것들을 통해 분배활동이 이루어 지며 소득이라는 결과가 생긴다.

소비 활동

  •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 후 사용
  • 소비는 왜 하는가?
    • 만족감, 편의, 효용

희소성과 경제 문제의 발생

자원의 희소성 이란?

  • "자원의 존재량 < 인간의 욕구"

세 가지 경제 문제

1.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

  • 생산물의 종류와 양을 결정
  • 효율성이 기준!
    • ex) 잘 팔리는 거 많이 생산하기

2.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 생산요소의 방식과 비율
    • ex) 어떤 방식으로 생산할 것이며 방식의 비율을 어떻게 되는가.
  • 효율성이 기준!

3. 누구를 위하여 생산할 것인가

  • 생산 요소 제공에 대한 대가를 누구에게 얼마나 분배할것인가.
  • 형평성이 기준!

위 세가지 문제는 모두 자원의 희소성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무상재와 경제재

경제재의 그래프

경제재 그래프

위는 일반적인 경제재의 그래프이다.

초과 수요도 초과 공급도 없는 두 선이 만나는 지점이 시장에서의 균형 가격이다.

무상재의 그래프

무상재 그래프

위는 무상재의 그래프이다.

만나는 지점이 없기 때문에 시장 가격도 형성되지 않는다.

하지만 수요의 수량이 늘거나 공급의 수량이 줄어들어 그래프가 만나게 된다면 시장 가격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사마시지 않았던 물을 현재에는 공급받을 수 있는 물의 양이 적어져 아래 그래프 처럼 만나게 되어 물을 시장 가격이 형성되어 물을 사마시게 되는 것이 있다.

무상재의 경제재화 그래프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